이 글에서 언급하는 세 가지 방법을 통해 당신의 사진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예술’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적용되진 않습니다.
다만 ‘보기좋은’ 사진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방법임은 분명합니다.
특히 인물사진이나 행사사진 같은 경우 이 방법을 사용하면 상당한 힘이 될 것입니다.
이 방법은 초보를 대상으로 하며 적어도 중수정도는 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방법론입니다.
이 글은 무료강의이므로 당신의 돈은 전혀 들지 않습니다.
또한 만약 당신이 필름쟁이라면 무의미한 이왜찍도 더욱 보기 좋은 이왜찍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즉, 필름 낭비를 막을 수 있다는 것이고 이는 곧 금전적 이익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이 글을 통해 매우 짧은 시간 동안 당신의 뇌에 세 가지 팁을 박아넣을 수 있습니다.
이 시간을 통해 당신의 사진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하세요.
세 가지만 명심하면 됩니다. 비율, 벡터(방향성), 자성(중력).
먼저 비율입니다.
사진에는 비율이 있다.
먼저 프레임 가로 세로의 비율,
그리고 프레임 내부의 비율.

35mm 사진을 기준으로는 가로 3, 세로 2의 비율이며
인스타그램 스토리 기준으로는 가로 9, 세로 16의 비율입니다.
이 비율로 인해 피사체가 프레임 내에서 놓일 위치가 결정됩니다.
단, 이 비율만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앞으로 언급할 프레임 내부의 비율, 그리고 방향성, 중력과 같은 요소를 고려해야합니다.
프레임 내부의 비율이란, 프레임 내에 피사체가 놓일 위치와 그 외 공백 부분 간의 부피 내지는 길이 비율을 의미합니다.
흔히들 황금비율이라고 알고있는 비율이며 대충 8대 5 정도입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이게 아닙니다.
우리가 알아야 할 황금비율은 피보나치 수열이며 이 수열의 n번째 수와 n+1번째 수를 기억하면 됩니다.
1, 1, 2, 3, 5, 8, 13…순으로 쭉 이어져있습니다.
이를 비율로 환산하면, 1:1, 2:1, 3:2, 5:3, 8:5, 13:8…이 됩니다.
이를 기억하기는 어려우니 우리는 단순한 방법을 사용하기로 합니다.
2대 3 비율의 프레임 기준으로 가로 삼분할, 세로 삼분할의 선을 그었을 때 생기는 네 개의 점을 기억하면 됩니다.
한 점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각 방향으로 2:1의 비율이 발생하며 이는 피보나치 수열 중 하나에 해당합니다.

피사체를 프레임의 1 대 1 비율인 정중앙에 놓았을 때 우리는 사진에서 균형감을 느끼며

정중앙이 아닌 점 위에 피사체를 놓게 될 경우에도 우리는 심리적 균형감을 느낍니다.
그리고 이 현상은 다음 언급할 벡터, 방향성과도 연결이 됩니다.
이번에는 방향성입니다.
피사체가 바라보는 방향에는 힘이 생깁니다.
이 힘의 밀도에 따라 피사체가 놓일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이는 우리의 연출 의도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피사체가 오른쪽을 바라보거나 이동하고 있는 경우 힘이 오른쪽으로 향하고 있으므로 오른방향으로 힘이 진출하도록 도와줘야합니다.


만약 해당 방향에 공간을 주지 않고 힘의 진출을 방해할 경우 ‘답답한, 갑갑한’ 사진이 나오게되며 피사체를 정중앙에 놓았음에도 균형감이 깨진 듯한 느낌이 들 때는 대부분 이 때문입니다.
사진영상업계에서는 이를 노즈룸, 룩킹룸, 리드룸 등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이 밀도의 정도는 위 피보나치 수열 내지는 삼분할 선을 기준으로 잡고 설정하면 됩니다.

이 힘은 다음에 언급할 프레임의 중력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중력입니다.

앞서 설명한 방향성에 따르면 힘이 향하는 방향으로 공간을 줘야한다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이 경우 왜 황금비율에 따라 피사체를 배치해야만 하는지 의문이 생겼어야합니다.
왜 한 변 끝에 피사체를 놓고 반대편 방향을 보도록 세팅하면 안되는가?
이는 바로 중력 때문입니다.

프레임의 각 변에는 끌어당기는 힘, 즉 중력이 존재합니다. 프레임의 자성이라고도 부릅니다.
이 중력은 매우 강력한 힘이기 때문에 아무리 균형을 위해 앞에 공간을 둔다고 해도 프레임에는 일정 수준 가까이 가면 안됩니다.
사건의 지평선을 넘으면 블랙홀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듯 일정 선을 넘으면 프레임의 균형감은 걷잡을 수 없이 무너지게 됩니다.
좌우뿐만 아니라 위아래에도 프레임의 변이 있으므로 상하배치에도 신경을 써야합니다.



이 역시 피보나치 수열을 기준으로 힘을 실어주면 위쪽 삼분할 점부분에 두거나 아래 점에 두면 됩니다.
위쪽 점에 두어 머리 윗 공간을 적당량 둘 경우, 이를 헤드룸이라 부르며 아래쪽 삼분할 점으로 배치하여 미적 표현을 위해 사용하곤 합니다.
다만 이 모든 것들은 ‘비율’에 의해 결정되어야합니다.
우리가 지금까지 간과한 것이 있습니다. 프레임에 피사체를 어느정도 비율로 어느 크기로 담았는가입니다.
이를 샷사이즈라 부르며 풀샷, 니샷, 클로즈업샷 등이 있습니다.
이 때 한 가지를 더 고려해야합니다. 맨 처음 언급한 프레임 자체의 비율입니다.


이 비율과 샷사이즈가 어떻게 관계를 맺느냐에 따라 앞서 언급한 헤드룸, 리드룸, 노즈룸 등이 무시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균형감과 어느 것에 힘을 줄 것인가, 즉 연출의도입니다.
즉 사진의 모든 것은 어떤 피사체를 어떤 의도에 따라 어떤 힘의 비율로 담아낼 것인가입니다.
누군가는 사진은 빛이 전부인데요?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맞습니다. 사진은 빛이 전부입니다. 부정하지는 않겠습니다. 하지만 사진 그 자체가 빛으로 그린 그림이라는 전제하에 있으므로 그저 당연한 얘기이기에 건너뛴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세 가지 단어를 중점적으로 다뤘습니다.
비율, 방향성, 중력.
그리고 이 세가지의 핵심 키워드는 두 가지로 줄일 수 있습니다. 힘의 밀도 그리고 연출의도.
다시 한 번 언급하며 이만 글을 마칩니다.
사진의 모든 것은 어떤 피사체를 어떤 의도에 따라 어떤 힘의 비율로 담아낼 것인가이다.
지금까지 사진에 관하여, 사진관이었습니다.
- 사진정보 -
모델 : 장유진
필름출처 : ebay 구매
이것들만 지켜도 중박은 칩니다. 근데 말이죠. 고수로 가기 위해선 이것들을 자유자재로 다루고 깰 수 있어야합니다.
전 그걸 못해서 고수가 못 되고 있습니다.
영상 속에서 35mm도 헷갈려서 36mm라 한 거 보면 전 초보가 맞습니다.
'사진관, 사진에 관하여 > 뇌피셜 사진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진 잘 찍는 법] 05. 조리개와 노출계 (2) | 2024.02.03 |
---|---|
[사진 잘 찍는 법] 04. 셔터 (2) | 2024.02.03 |
[사진 잘 찍는 법] 03. 렌즈와 필터 (0) | 2024.02.03 |
[사진 잘 찍는 법] 02. 사진의 정의 (0) | 2024.01.28 |
[사진 잘 찍는 법] 01. 영상의 분류 (0) | 2024.01.27 |